【월드경제신문=김창한 기자】일본이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늘린다고 한다. 일본은 노인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지가 10년이 훌쩍 넘었다.

게다가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은 계속 늘고 있다. 영양 상태도 좋아 65세 이상이라 하더라도 활동하는데 체력적으로 별다른 부담을 느끼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65세를 노인을 볼 수 있겠냐는 게 이번 노인 연령 인상 추진의 배경이다.

이와 관련해 일본 노년학회는 이미 작년에 65세에서 74세는 준고령자로 하고, 75세부터 노인으로 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사회적 논의 또한 일본 정부로 하여금 노인 연령 기준 인상 추진에 힘을 보탠 것이다. 일본 정부는 노인 연령 인상과 함께 연금 수령 시점도 늦춘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일본의 노인 연령 인상 추진은 우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 역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우리는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 저출산도 심각한 수준이니 조만간 노동인구 감소가 발등의 불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국 정년 연장에 대한 필요성이 점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경우 노동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미 10%를 넘어선지 오래다. 우리 사회의 인구 구성비 변화를 놓고 볼 때 일본의 전철을 밟아갈 가능성은 농후하다. 그런 만큼 이에 대비해 노인 연령 기준을 높이는 문제를 공론화의 장으로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대한노인회조차 지난 2015년 노인 연령을 높이자고 정부에 건의하지 않았는가. 우리의 초고령화 사회 진입은 피하기 어려운 문제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고 나서는 혼란만 가중될 뿐이다. 미리 대비해야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노인 연령 기준을 높일 경우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현재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노인 빈곤 문제도 그중 하나다. 자칫 복지 혜택 사각지대로 몰리는 계층이 양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한꺼번에 불거지기 전에 우리 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2030년이면 우리나라 인구 4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