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경제=이현수 기자] 일본의 국내 총생산(GDP)이 독일에 뒤쳐져 세계 4위로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경제전망에 따르면 2023년 일본은 전년 대비 0.2% 감소한 4조2308억달러(약 5677조7336억원), 독일은 8.4% 증가한 4조4298억달러(약 5944조7916억원)가 될 전망이다.

1위 미국은 5.8% 증가한 26조9496억달러(약 3경6166조3632억원), 2위 중국은 1.0% 감소한 17조7009억달러(약 2경3754조6078억원)였다.

IMF의 이 같은 전망과 관련해 일본의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엔화 약세와 독일의 고인플레이션 영향도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일본 경제의 침체를 반영한다"고 적었다.

1인당 명목 GDP가 아닌 국내 총생산이 인구의 3분의2인 독일에 뒤진다는 건 1인당 노동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일에 역전당한 것은 뉴스지만, 일본 경제의 침체 등은 더이상 새로운 이야기꺼리가 아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일본경제는 30년의 장기 침체를 겪고 있다. 그 원인에 대해서도 거시적으론 어쩌면 이미 결론이 나 있다. 출산율이 낮아져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이 그대로 전철을 밟아 나가고 있다.

2000년대 일본에선 '초식남'이라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어떻게 변형이 되었건, 주요 원인이 다른 어디에 있건 간에 지금 대한민국은 비슷한 문화 현상속에 빠져들었다.

경제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지금 이 시간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은 0.7 이다. 생각해보면 소름끼치는 숫자가 아니던가.

1인당 GDP가 올라가도 요지부동이다. 아니, 전 세계 모든 선진국이 그래왔듯 이건 원래 정반대의 함수관계를 가지는게 맞다. 국민소득이 올라갈수록 출산율은 떨어지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선을 넘었다.

결혼과 출산이라는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위한 자유로운 선택지가, 국가의 미래조차 두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부의 양극화는 더욱 더 심화되고, 대한민국의 문화와 사회에는 여타 선진국이 그래왔듯 빠르게 개인주의와 다원화가 확산되었다.

새마을 운동같은 전 국민이 동참하는 사회현상은 이미 역사속의 한페이지가 되었고, 신통방통한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뭐 어쩌란 말인가? 라는 소리가 들려온다.

국내 총생산보다 1인당 국민소득, 어쩌면 그런 의미없는 숫자보다 개개인이 먹고 사는게 훨씬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그렇다면 국내 총생산을 다룬 이 뉴스는 사실상 아무런 의미도 없어 보인다.

2천만명이 잘 먹고 잘 사는 나라가 좋은 거지 5천만명이 지지고 볶는 나라가 좋은 거냐는 옆집 중학생의 질문에도 선뜻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경제규모가 있어야 부강한 나라고, 젊은 이들이 많아야 일을 하고,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이 어쩌구 하는 얘기는 공부하는 학생에게도 공염불인 그들만의 소리일 뿐이다.

저출산 대책은 정부가 바뀔때마다 새로운 대안이 발표되고, 의미없는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다.

정권이 바뀌면 연속성도 없으니 제대로 된 진단과 대책이 나올리가 없다.

앞으로 어느 정권이건 이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투구한다면 '지금 우리 사회가 어디에 와 있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방향성이 나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면 그런 시도마저 이제 선을 넘은 것일까.

전 세계 국가들의 경제규모를 다룬 뉴스를 보며 다시 떠오른 0.7이라는 숫자, 가리키는 곳은 하나인 것처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