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인구 고령화 등으로 격차 더 벌어져

[월드경제=이현수 기자] 우리나라의 수도권 경제력 집중화 현상이 2015년 이후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는 절반 수준에서 70%포인트까지 수직 상승해 수도권 공화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됐다.

한국은행의 25일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의 전국 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이 2015년 51.6%포인트에서 2022년 70.1%포인트까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는  전국 생산 중 수도권 비중이 50%를 처음 넘은 2015년을 기준으로 2001~2014년과 2015~2022년으로 분석 대상을 나눠 지역별 경제적 성과를 비교 평가했다.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첨단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비수도권은 자동차,화학제품 등이 중국과의 경쟁 심화,생산성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한 결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격차는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와 도 지역 간 소득 격차가 줄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았던 도 지역의 소득 증가율이 2015년 이후 대도시보다 덜 둔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다만, 민간 소비 측면에서 두 지역 간 격차는 오히려 확대됐다.

청년 인구의 대도시 이동에 따른 인구 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등으로 도 지역의 평균소비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한 영향이다.

한은은 "비수도권 지역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다각적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역 특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