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경제신문 김창한 기자】경기 부진과 구조조정 여파 등으로 국내 100대 상장사의 절반 이상이 올 들어 직원을 줄였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어 우려스럽다.

작년 말 85만9528명이었던 100대 상장사 직원 총수는 3월 말 현재 85만7412명으로 줄었다. 3개월 새 2116명이 감소한 것이다. 게다가 최근 들어 이직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이직한 지 3개월 미만인데도 취직하지 못한 이직자는 3월 기준 132만1000명에 달해 작년 동기보다 2만8000명 증가했다. 사업장의 폐업, 정리해고 등 비자발적인 사유 때문에 이직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3월 현재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장의 경영 악화로 이직을 택한 사람은 1년 전보보다 2만명 증가했다. 명예·조기퇴직·정리해고에 따른 이직자와 직장의 휴업·폐업 때문에 생긴 이직자도 각각 2만1000명, 4000명 늘어났다.

하반기에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비자발적 사유 때문에 이직하는 경우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조선산업에서 발생할 실업자는 수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실업의 발생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이들이 재취업 가능성도 배제당한 채 밀려날 경우 가정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지금 우리 경제는 글로벌 위기 이후 엄청난 시련에 직면해 있어 마땅한 대책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다고 방치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정부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할 비자발적 실직자들에 대한 대책 마련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선 노동계와의 소통에 나서야 한다.

또한 여야 정치권과의 대화에도 소홀해서는 안 된다. 이들의 협조가 없을 경우 사회적 갈등을 막을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