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루이빌大 연구팀, 정상아-자폐아 뇌 비교분석

ⓒ Image by storyset on Freepik
ⓒ Image by storyset on Freepik

[월드경제=이현수 기자]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미국에서 개발됐다.

미국 UPI통신은 미국 루이빌대학교 생명공학과 아이만 엘-바즈 박사의 연구팀이 특수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해 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해 자폐증을 진단할 수 있는 AI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UPI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확산텐서(DT) MRI를 분석해, 뇌의 백질 경로를 추적해, 물 분자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감지하는 특수 영상 기술"이라고 전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주로 뇌의 신경이 부적절하게 연결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DT-MRI를 통해 사회적 소통 손상, 반복 행동처럼 자폐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비정상적인 신경 연결을 찾아낸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또, AI가 DT-MRI 영상에서 뇌 조직 이미지를 분리하고 뇌 영역 간의 연결 수준을 나타내는 영상을 추출해, 기계적으로 학습된 알고리즘을 통해 정상아와 자폐아의 뇌신경 패턴을 비교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자폐증 뇌 영상 데이터'에서 24~48개월 사이의 아동 226명을 대상으로 DT-MRI 영상을 AI 분석한 결과, 자폐증 아동 126명과 정상 아동 100명이 분류됐는데, 정확도가 98.5%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2023년 자폐증 보고서에 따르면, 3세 이전에 자폐 진단을 받는 아동은 절반에 미치지 못하며, 자폐증의 기준을 충족하는 아동의 30%가 8세까지 정식 진단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심리학자의 업무량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며,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아 상품화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이 기술이 업무량을 얼마나 줄여줄 수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라며 "일반 대중을 위해 사용되기까지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