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배종주 기자(baetovin@) 

【월드경제신문 류관형 기자】10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7% 상승했고,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8%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도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6.5% 상승했으며, 신선식품지수도 11.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일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소비자물가는 공공요금·가공식품가격이 인상했으나, 석유류 및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세 등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7% 상승했다. 농산물은 채소류 수급 개선, 축산물은 출하마릿수 증가 등으로 전반적 안정세를 보이며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폭이 줄었다.

석유류는 OPEC+ 감산결정(10.5일, 일 200만 배럴) 후에도 전반적인 유가 안정세가 지속되며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지난해 16.6%에서 10.7%로 둔화됐다. 전기·가스·수도는 전기·가스 10월 요금 인상분이 반영되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가격 상승폭이 14.6%에서 23.1%로 확대했다.

개인서비스는 여가 및 외식수요 회복 등에 따른 가격 상방압력이 지속되면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오름폭이 그대로 6.4% 유지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오름폭이 4.5%에서 4.8%로 소폭늘었다.

생활물가지수는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과 전기·가스 등 식품이외 가격 상승이 각각 상·하방압력으로 작용하며 가격오름세는 6.5%로 그대로 유지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채소류 등 수급이 다소 개선되면서, 신선채소·과실 가격 중심으로 12.8%에서 11.4%로 상승폭이 줄었다.

정부는 10월 전기·가스요금 인상과 OPEC+ 감산결정 등 상방요인에도 불구하고, 농산물 수급여건이 개선되고 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며 5%대 물가상승 흐름이 지속됐다. 앞으로 물가상승세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당기간은 높은 수준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고,김장철 채소류 수요 확대, 환율·원자재가격 변동성 확대 등 대내외 리스크도 여전히 잔존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정부는 먹거리 중심으로 물가상방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김장재료 수급관리와 농수산물 불안품목 가격안정화, 가공식품 가격인상 최소화 등 장바구니 물가안정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우선 김장물가가 작년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11월 김장철 수요에 대응해 김장재료 방출 등 수급관리와 할인쿠폰 지원·마트 할인행사 등 가격할인을 적극 추진하고 겨울철 수요가 많은 명태·고등어 등 수산물과 환율상승 등으로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바나나·망고·파인애플 등 열대과일에 대해 추가로 관세를 인하할 방침" 이며 "식품가격 추가인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식품원료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분야별로 업계 간담회 등 협의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