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

이번에 확정된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는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와 실물경제의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해운산업이 위기를 조기 극복할 대책과 성장기반을 확충해 세계 5대 해운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추진전략 등이 포함 돼 있다.

즉, 일부 해운사의 부실에 해운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어 해운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선박매입 및 채무조정 프로그램 등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또한, 해운 호황기에 형성된 다단계 용・대선 관행을 단절하고, 구조조정 선박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 한다는 것이다.

다소 늦은 감은 없지 않지만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사실 해운산업은 우리나라 수출입 화물의 99.7%를 담당하는 기간산업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운시황이 호황기 일 때만 해도 국내 해운업체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에서 효자노릇을 했고, 각 업체들도 선대를 확충하는 등 경쟁력 강화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2005년 이후 신규 진입이 급증했고, 과도한 용・대선 위주의 영업을 해 왔다.

그 결과 지난해 하반기 해운경기 급락으로 연쇄적인 용선료 지급불능이 발생했고, 특히 지난해 말 기준 해운사 177개 중 90%의 해운업체가 중소기업이며, 상위 30개 해운업체가 전체 매출의 85%를 차지하는 등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결국 해운산업의 구조조정이 필요하게 됐고, 정부의 지원도 절실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도 한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국내 해운산업의 중요성을 볼 때 정부와 해운업체들은 다소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부는 해운업계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않았으며, 일부 해운업체들도 외형 확장에만 매달려 내실 있는 경영과 경쟁력 강화에 소홀했던 것이다.

“위기가 곧 기회다”란 말을 어려울 때는 참 많이 한다.

지금이 바로 그 때다. 정부가 각종 지원책과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한 이 때 해운업체들은 뼈를 깍는 고통을 감내하듯 강도 높은 자체 구조조정을 통해 이 어려운 시기를 슬기롭게 대처해 나가 경쟁력을 강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