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안전수영협회 김철기 회장] 지난 20일 오후 3시 13분 부산 광안대교를 건너던 택시에서 내린 17세 고교생 김군이 난간을 넘어 40m 아래로 뛰어내리는 사건이 있었다.  마침 순찰중이던 부산해경 광안리파출소 연안 경비정이 급히 출동해 불과 4~5분만에 추락지점에 도달해서 부유물처럼 누워 떠있는 김군을 구조해냈다.

사고시점부터 불과 10여분만에 선상으로 끌어 올린 김군을 대기하던 119구조대가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해서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경제적 사회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진 청소년세대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시기에 이러한 극적인 생명구조 사례는 고무적인 소식이다.
 
부산해양경찰서에 따르면 당시 김군이 어떤 자세로 뛰어내렸는지, 어떻게 물에 가라앉지 않고 부유물처럼 떠서 있었는지 확실치 않다고 한다. 그러나 생존수영 전문가의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사건현장에서 발생한 일을 복기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우선 김군이 40m 높이의 교량에서 뛰어내렸는데 내외상을 입지않은 점으로 미루어보아 선 자세로 입수한 것이 확실하다. 이는 고도의 훈련을 받은 전문 다이빙 선수가 아니고서는 머리나 복부 등에 충격을 받지 않고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단 물속 깊이 잠수한 뒤에는 폐속에  들어있던 공기와 몸의 부력과 아울러 팔다리 휘젓기 동작에 힘입어 수면으로 올라온 김군이 이른바 ‘잎새뜨기’자세를 본능적으로 취함으로써 부유물처럼 물위에 떠있었던 것이 분명해 보인다.
 
여기서 ‘잎새뜨기’란 맨몸으로 만세 자세와 호흡법만으로 물위에 나뭇잎(부유물)처럼 누워서 뜬 채, 장시간 체력소모를 줄이면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는 수영자세이다. 실효성이 탁월해 익사방지법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교육청에서 학생들에게 교육하고 있다. 

잎새뜨기 자세는 훈련이 필요하지만 본능적으로 감각적으로 몸에 익힐 수 있어 효과가 탁월하다. 어떤 경우든 깊은 물에 빠졌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입수직후 팔다리를 써서 수면으로 떠올라온다. 다음으로 물속에서 얼굴이 나오는 순간, 숨을 들이쉬고 양팔을 머리위로 올려 만세자세를 취한다.

몸을 지렛대로 사용하면서 뒤로 누워 양무릎을 느슨하게 접는 자세를 취하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안정되게 물에 떠서 호흡을 계속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하나는 배나 교량 등 높은 곳에서 물에 뛰어들 때는 서있는 자세로 입수해야 하며 자칫 배를 포함한 몸 부분이 먼저 물에 부딪히면 내장파열이나 부상을 당하게 되니 극히 주의해야 한다.
 
입수전 숨을 최대한 들이쉰 다음 입수후에는 재빨리 팔다리를 사용해서 수면으로 올라와서 호흡을 확보해야 한다.
 
이때 부력이 있는 대부분의 신발을 착용한 경우 이 미세한 부력효과가 무릎과 발을 수면 가까이 띄우는 데 큰 도움을 주게 되니 신고 있던 신발을 벗지 않도록 한다. 

한국안전수영협회가 2015년에 국내외에서 최초로 개발한 이 '잎새뜨기'는 효율성과 탁월한 익사방지법으로서 해경청, 119소방과 전북교육청이 공식적으로 채택해 자체적으로 보급해 오고 있다.

근본적으로 아이들이 스트레스와 사회환경의 영향으로 자살하려는 마음 자체가 들지 않도록 조치하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먼저다. 하지만, 사회나 주위의 사람들이 모든 것을 해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다면 물에 뛰어들어 자살하려는 아이들을 살려는 본능으로라도 살릴 수 있는 잎새뜨기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개인적으로 잎새뜨기는 해상사고나 수영 중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되기를 바라지만, 한 명의 아이라도 살릴 수 있다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

자라나는 우리의 아이들이 불안, 스트레스 등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힘든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길러 마음 근육이 튼튼해져서 건강하게 성장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