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경제신문】정부가 16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 장관 회의’를 열고 아시아나항공을 대한항공에 인수시키기로 결정했다.

한진그룹 지주사인 한진칼과 대한항공도 이날 이사회를 열고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의결했다. 산업은행이 한진칼에 8000억원을 지원하고, 한진칼은 이 자금으로 자회사인 대한항공을 통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산업은행은 한진칼이 발행하는 주식을 인수한다는 방침이다. 한진칼의 지분 10.7%를 소유하는 주요 주주가 되는 것이다.

현실화될 경우 대한항공은 세계 10위권의 국적 항공사로 거듭나게 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불발과 코로나19 사태로 위기에 몰린 국내 항공산업에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국내 항공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두 항공사 갚아야 할 빚만 10조원에 달한다. 위기에 빠진 항공산업을 구조조정하지 않고서는 생존이 불투명한 상태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 두 항공사의 합병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산업은행도 지금 상태가 계속되면 아시아나에 대한 추가 감자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매각 재추진 시 채무 탕감 등으로 채권단의 막대한 손실 또한 예상된다고 밝히고 있다.

국가 기간산업의 몰락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우리는 4년 전 한진해운 사태로 처절하게 경험했다. 한진해운의 공중분해로 우리 해운산업은 몰락 위기에 몰렸고, 아직도 그 여파로 세계 해운시장에서 기를 못 쓰고 있다. 항공산업 또한 대표적인 국가 기간산업이다. 세계 각국이 코로나 사태로 위기에 빠진 자국의 항공산업을 살리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것도 한 번 무너지면 되살리기가 쉽지 않은 기간산업의 특징 때문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실제 합병에 이르기까지는 극복해야 할 난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당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KCGI・조현아・반도건설 등 3자 주주 연합의 반발을 극복해야 한다. 합병에 따른 독과점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양사 노조의 반발도 걸림돌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하더라도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문제다. 그만큼 항공산업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단기간에 해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산업은행이 투입한 자금은 결국 국민 세금이다.

자칫하면 정부의 경영 간섭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지뢰가 도처에 깔려 있다. 정부가 단지 항공산업의 위기 탈출을 위한 소방수 역할에만 머물 것인지는 지금으로서는 알 수가 없다. 조 회장의 경영성과가 나오지 않을 때 어떤 행보를 보일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 합병이 조 회장으로서는 경영 위기를 넘어 경영권 방어를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위기일 수 있다. 조 회장이 이번 아시아나 인수를 환골탈태(換骨奪胎)의 각오를 임하지 않는다면 대한항공은 여우를 피하려다 호랑이를 만나는 형국이 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