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경제신문】북한과 미국발(發) 악재가 한꺼번에 터지면서 코리아 리스크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한이 지난 3일 6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FTA 폐기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우리에게 가장 바람직스럽지 못한 소식이 북쪽과 태평양 건너에서 같은 날 한꺼번에 날라든 것이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일요일임에도 1급 이상 간부를 긴급 소집해 긴급회의를 주재했다. 이어 김 경제부총리는 4일에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최종구 금융위원장 등 관계기관 수장들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했다.

거시경제금융회의는 일반적으로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는 회의이다. 그럼에도 경제부총리가 직접 나선 것이다. 경제 부처들이 이렇듯 급박하게 움직인 것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이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이 그만큼 심각해질 것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김 경제부총리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며 “매우 엄중한 상황인 만큼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긴장감을 가지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긴박한 북핵 위기 속에서 한미 공조는 어느 때보다 시급하고 절실한 시점이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미FTA 폐기를 강행하겠다고 한 것이다. 이는 두 나라 통상 관계를 뿌리 채 흔들 수 있는 일이다.

더군다나 중국의 사드 보복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 우리 경제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를 향해 밀려들고 있는 삼각파도가 그만큼 심상치 않은 것이다.

이러한 위기는 1차적으로 금융 외환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실제로 증시는 4일 개장하자마자 폭락세로 출발했다.

코스피는 무려 40포인트 이상 하락으로 장을 시작했다. 코스닥도 2% 이상 내린 상태로 돛을 올렸다. 파장은 여기서 멈추지는 않고 실물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지금 우리는 정치·군사적 위기에 더해 경제적 위기까지 감안해야 하는 사태에 직면해 있다. 그동안 경험했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위기이다.

정부의 대처가 얼마나 신속하고 투명하게 진행되느냐가 중요한 이유다. 이제 정부는 코리아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각오로 대비에 나서야 한다. 위기에 빠진 한국 경제가 침몰하지 않도록 정부가 비상한 각오로 임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