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경제신문】사상 최대 규모의 랜섬웨어(ransomwear) 사이버 공격으로 전 세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지난 12일부터 시작된 이번 공격으로 현재까지 전 세계 150개 나라에서 컴퓨터 30만대 이상이 감염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해커들은 랜섬웨어를 이용해 중요 파일을 암호화해 놓고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을 요구했다. 추적을 피하기 위한 수법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이번 공격을 피해 가지는 못했다. 국내 최대 영화관 체인인 CJ CGV의 경우 상영관의 광고 상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와 기업들이 기민하게 대처해 큰 혼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지난 2009년 북한의 사이버 공격으로 주요 전산망이 마비됐던 경험이 약효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혼란을 야기한 랜섬웨어 공격의 배후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 배후설이 나오고는 있지만 아직 확정적인 것은 아니다. 현재 주요국들이 조사에 나서고 있으니 누가 이번 사태를 주도했는지는 조만간 밝혀지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우려되는 것은 이러한 사이버 공격이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번에 사용된 랜섬웨어는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만 되어 있어도 감염되도록 설계돼 있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우려된다.

더군다나 변종을 쉽게 만들 수 있어 범죄 집단의 해킹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리는 현재 4차 산업혁명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스마트폰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조만간 사물인터넷(IoT)으로 모든 가전제품이 연결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자율주행차도 거리를 활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는 랜섬웨어 등 사이버 악성 코드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현안이 될 수밖에 없다. 사이버 보안이 새로운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는 얘기다. 정부도 이러한 점을 감안해 초등학교 때부터 사이버 보안에 대한 조기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악성 코드 배포가 명백한 범죄행위라는 점을 확고하게 가르쳐야 한다. 또한 생활 속에서 사이버 보안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미래세대를 안전하게 이끄는 길이 될 것임을 정부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